러시아에 파견돼 훈련 중인 수천명의 북한군에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군부 측근까지 우크라이나전에 동참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우리 정부는 미국,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의 대응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북한군 수천명이 23일 쿠르스크에 도착하기 시작했으며,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기 위한 반격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군부 측근도 우크라전에 가담할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 교도통신은 26일 우크라이나군 소식통을 인용해 김영복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이 파견된 북한군 부대를 총괄하기 위해 러시아에 입국했다고 밝혔다.
북한군 투입 정황이 속속 드러나자 정부도 대응에 나섰다. 정부 대표단은 28일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나토 본부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이사회(NAC)에 참석해 북한군 파병 동향을 브리핑할 예정이다.
정부 대표단은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을 단장으로 박진영 합동참모본부 정보부장 등 정보·군·외교 당국 고위 관계자들로 구성됐다. 대표단은 나토 측과 북한군 파병 동향 및 대응 방안을 논의하면서 한국의 우크라이나 현지 모니터링단 파견 및 우크라이나군 지원 문제 등도 협의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전장에 파병된 북한군 전력을 탐색하고 전술 및 교리를 연구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모니터링단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모니터링단은 전장에 투입된 북한군이 포로로 잡히거나 탈영하게 되면 이들을 신문하는 역할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방식도 고려된다. 정부는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동향 등을 보면서 단계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2일 “앞으로 단계별 시나리오를 보면서 방어용 무기 지원도 고려할 수 있고, 그 한도가 지나치다 싶으면 마지막에 공격용(무기)까지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인도적 목적의 비살상용 군수물자만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이 지속된다면 지대공 방공미사일 등 방어용 무기, 적 타격이 목적인 공격용 무기까지 지원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정부는 오는 30일 미국 워싱턴DC 펜타곤에서 열리는 제56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도 북한군 파병 대응 문제를 논의한다. SCM에는 김용현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을 비롯해 양국 국방 및 외교 분야 고위 당국자들이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