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추석과 설 명절이면 가족들이 한데 모여 차례를 지내는 풍습이 있다. 이는 조상에 대한 감사를 표시하고 후손들이 잘되게 해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
차례상 위에는 나물, 과일 등 갖가지 제사음식이 무작위로 자리를 메우고 있는 듯 보이지만 자례상 차리는 방법이 별도로 있다.
차례을 차릴 때는 5열과 동서남북만 기억하면 용이하다. 방위에 관계없이 신위를 모신 곳을 북쪽 방위로 본다.
지역 및 가정마다 다를 수 있지만 보통 5열로 상을 차리는데,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볼 때 1열은 식사류인 밥과 국 등이, 2열은 주요리가 되는 구이와 전 등이, 3열에는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며,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가, 5열에는 과일, 과자 등 후식에 해당하는 것들을 올린다. 또한 상 앞 제주 쪽에는 향로, 모삿그릇, 퇴줏그릇 등을 놓는다.
제수의 종류와 차리는 방법으로 어동육, 즉. 동쪽에 어물, 서쪽에 육류를 놓으면 된다. 왼쪽에 포를 놓고, 오른쪽에 식혜를 놓는다는 뜻의 좌포우혜다. 홍동백서는 붉은 것은 동쪽, 흰 것은 서쪽에 놓는다.
과실을 차리는 방법에는 홍동백서 계열의 동조서율과 조율이시의 방법이 있다. 동조서율은 대추는 동쪽이고 밤은 서쪽에 놓는다는 것이고, 조율이시는 대추, 밤, 배, 감을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 차례대로 놓으면 된다. 반서갱동은 밥(메)은 서쪽이고 국(갱)은 동쪽에 위치하게 된다.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향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해야 하는 두동미서,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한다는 배복방향, 익힌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 숙서생동 등을 기억하면 된다.
제수로 올리는 음식들은 가짓수와 개수가 1, 3, 5 등 홀수에 맞춰야 한다. 홀수는 양으로 길한 숫자를, 짝수는 음을 의미하기 때문.
밥, 국, 숭늉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해야 하며 명절 차례 때는 떡국이나 송편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술, 떡, 찌개, 부침개, 구이, 나물, 과자 및 과일 등은 신위 수와 상관없다. 제사음식에는 향신료(마늘, 후추, 고춧가루, 파)를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만으로 조리한다.
[쿠키영상] '모성애의 기적' 출산 후 죽음의 문턱에 선 엄마를 살려낸 아기의 울음소리
[쿠키영상] '생리현상 못 참고 그만'…비키니 미녀의 품에서 실례를 한 돼지
[쿠키영상] 위협을 느낀 표범의 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