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가속기 기반 그린신소재산업 육성' 청사진 마련

경북도, '가속기 기반 그린신소재산업 육성' 청사진 마련

기사승인 2017-12-05 16:18:01

경상북도는 5일 도청 대구청사 회의실에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과 ‘가속기 기반 그린신소재산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도는 지난해 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포항에 준공됨에 따라 지역에 위치한 3대 가속기의 산업적 활용 촉진과 관련 산업의 미래성장동력 산업 육성을 위한 ‘가속기 기반 그린신소재산업’을 추진해왔다.

지난 7월부터 사업의 기본구상 설계와 중점 분야 도출 및 추진 전략을 제시할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포항시 경제자유구역 내에 위치한 산업기술융합지구에 연구와 기업이 함께하는 그린신소재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연구·기획된다. 

이번 보고회에서 가속기를 활용한 과학기반형 신소재 산업 클러스터 조성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선도적 지식창출 확산 플랫폼 구축 ▲미래 신소재 산업육성 선도 ▲국가 및 지역산업과 동반 성장 전략 아래,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체계 구축에 초점을 둔 기술주도형 클러스터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선도적 지식창출 확산 플랫폼 구축’과 관련해 가속기의 산업적 활용성·신소재 시장성, 지역의 혁신인프라·전후방산업의 파급성 등을 분석해 자동차용 첨단자성체, 이차전지·에너지 소재, 전력반도체, 탄소·타이타늄 등 경량소재 분야의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그린신소재연구소를 설립, 산하에 이차전지․에너지 저장 소재센터, 첨단자성체 연구개발 센터, 차세대 전력반도체용 소재개발 센터, 탄소 및 타이타늄소재 개발 센터를 둬 지역의 혁신인프라 및 기업과 연계한 네트워크형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해 나가기로 했다.

또 연구와 기업이 함께하는 비즈니스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비즈니스지원센터 건립과 가속기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가속기 인력양성 아카데미 운영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비즈니스지원센터는 기업지원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주기적인 기술동향과 가속기 활용 수요를 파악해 지원하는 등 기업 연구소나 기업체들의 공동연구 협력공간으로 운영 할 예정이다.

가속기 인력양성 아카데미는 지역에서 추진하는 가속기 산업 활성화를 위해 신소재 분야뿐만 아니라 경북도에서 가속기를 활용한 산업 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약개발, 신물질 대체 등 가속기 관련 산업 전분야에 걸쳐 가속기 활용 대학원 등과 연계해 우수인력 확보하고 지역대학과 연계한 기술인력 양성으로 지역 내 고용창출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미래신소재산업 육성을 선도’하기 위한 과제로서는 신소재분야 기업 유치방안, 가속기를 활용한 소재분야 신규연구 방법론 정립, 기업의 가속기 활용도 제고 방안 등이 논의됐다. 

특히 기업의 브랜치 연구소의 우선 유치, 기업의 안정적 가속기 이용을 위한 전용빔라인 구축방안, 분석서비스 제공 및 기술노하유 축적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

‘국가 및 지역산업 동반성장’과 관련해서는 국가 전략산업 및 지역주력산업의 우선 지원을 통한 핵심산업 고도화방안과 소재산업 경쟁력이 지역의 주력산업인 철강 등 제조업 강화로 연결되는 방안, 나노융합기술원 등 지역의 혁신자원과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연구개발성과의 공유 및 기업과 교류를 통한 성과의 산업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송경창 경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은 “경북은 철강, 자동차 등 신소재 산업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고 3대 가속기가 위치해 신소재산업에 대한 잠재력도 우수하다”며 “그린신소재 산업 육성을 통해 국가 및 지역의 소재부품 기술 개발 및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고 지역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그린신소재산업 클러스터를 포항융합산업지구에 신약개발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바이오산업단지 등과 연계해 가속기 관련 융합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며, ‘가속기 특별법’ 제정도 준비 중이다.

안동=최재용 기자 gd7@kukinews.com
최재용 기자
gd7@kukinews.com
최재용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