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수립한 종합계획을 24일 공개했다.
지난 4월부터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추진한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은 경북 23개 시군의 인구변화와 지역소멸 위기 실태분석을 토대로 지방소멸대응 전략을 마련했다.
지자체 단위에서 지방소멸대응 전략을 마련한 것은 경북도가 처음이다.
종합계획은 △활력 넘치는 경북 △살기 좋은 경북 △매력 있는 경북을 3대 목표로 6대 추진 전략으로 이뤄졌다.
경북도 유정근 인구정책과장은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전략마련을 위해 전국 최초로 도 단위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한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경북은 경북은 전국(66%)에 비해 91%의 시군이 절대 인구가 줄어들면서 인구감소가 고착화 되고 있다.
게다가 사망자수가 출생아수를 넘어선 데드크로스는 이미 12개 시군이 2000년 이전부터 경험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사망자수 대비 출생아수가 6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출생아수 10명 이하 읍·면·동은 49.3%(165개)에 이르며, 군위군(88%)과 영양군(83%)의 경우 심각성이 더한 상황이다.
과반에 이르는 경북지역 읍·면·동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뚝’떨어진 셈이다.
이처럼 저출생, 고령화와 인구유출로 인해 경북인구가 대구와 분리된 1981년 319만명에서 2020년 264만명으로 무려 55만 명이나 줄어들었다.
특히 지난 한해에만 경북의 인구가 2만 6000여명 줄어드는 등 급격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다 지난 10년간 청년인구는 16만여명이 수도권으로 유출했으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6만명 증가해 22.4%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2117년에는 경북인구는 70명으로 급감하면서 80%의 시군이 소멸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10월 전국 인구감소지역 89곳을 지정·고시한 가운데 경북은 16곳으로 최다 지역으로 지정된바 있다.
연구용역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방향으로 ▲생활인구 확보와 유연거주 촉진 ▲세대조화·통합형 경북만들기 ▲지역산업·문화특화와 브랜드강화 ▲건강하고 편안한 생활공동체 조성▲지역 간 연대·협력·공유와 관계 강화 ▲선제적인 미래 대비와 지역 전환 등 6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1시군 1특화 살아보기 프로그램 운영 ▲농·산·어촌 유학프로그램 운영 ▲고향사랑기부금 도입 ▲클라인가르텐 사업 확산 ▲경북형 지방소멸 대응 선도모델 확산 ▲신중년 이주 및 정착지원 ▲자립형 노인 공동체 마을 조성 ▲외국인 유학생·근로자 정착 지원 ▲지역 특산물 브랜드화 ▲지역 문화 명소화 ▲스마트 경북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철우 지사는 “이번 대응으로 인구감소와 청년유출로 인한 지역 활력 저하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 내고 새 도약의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안동=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