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일 (목)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직장폐쇄 해제…노사 임단협 교섭 재개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직장폐쇄 해제…노사 임단협 교섭 재개

기사승인 2025-03-11 17:05:04
노조의 쟁의행위에 현대제철이 당진제철소 냉연공장 일부 라인의 부분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지난달 24일 냉연공장 내부가 텅 비어 있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제공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현대제철이 충남 당진제철소 냉연 공장에 대한 직장폐쇄를 11일 철회하기로 했다. 지난달 24일 노사가 임단협 갈등으로 부분 파업과 직장폐쇄를 이어가며 냉연 공장을 멈춰 세운 지 보름 만이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오는 12일 오전 7시부로 당진제철소 1·2 냉연 PL/TCM 부분의 직장폐쇄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당진 냉연 노조는 오는 13일 오전 7시부로 부분파업을 철회할 예정이다.

이후 노사 양측은 13일 오후부터 임단협을 재개할 방침이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9월 상견례 이후 단체교섭을 진행하고 있지만 해를 넘어서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사측은 기본급 10만원 인상에 더해 ‘기본급의 450%+1000만원’을 성과금으로 제시해 왔지만, 노조는 충분하지 않다며 그룹사인 현대차의 ‘기본급 500%+1800만원’ 등 수준에 맞춰 달라며 대립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이번 부분 직장폐쇄로 27만톤가량의 생산 손실이 발생하고, 손실액이 254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파업 장기화 및 직장폐쇄가 이어져 회사의 손실 규모는 더 커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노조의 부분파업 철회 이후 노사는 교섭을 재개해 임단협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재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환율 쇼크에 금융권 긴장…지주사 자본관리 ‘비상등’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 진입을 위협하면서 금융권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이라는 숙제를 짊어진 주요 금융지주사의 자본관리 전략에도 적신호가 켜질 전망이다.앞서 지난 2일(현지 시각)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별로 각기 다른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시장의 예상보다도 높은 수치다. 주요 무역국을 살펴보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타이완 32%, 일본 24%, 인도 26%, 한국 25%, 태국 36% 등이다.미국의 상호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