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가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 1260억 원을 편성했다.
이번 추경이 세종시의회를 원안대로 통과하면 올해 세종시 총예산은 기정 1조 9816억 원을 포함한 2조 1076억 원으로 증가한다. 이는 전년 최종예산 2조 510억 원 대비 2.8%, 566억 원 증가한 수치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14일 시청 정음실에서 기자브리핑을 열고 이번 추경안 편성방향을 설명했다.
최 시장은 이번 추경을 사회안전망, 지역경제 활성화, 안전망 확충, 삶의 질 향상 등으로 구분했다.
먼저 취약계층 복지와 사회 안전망 지원 분야를 보면 아동수당 19억 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6억 원, 부모급여 41억 원이 증액됐다.
또 노인복지 향상 기초연금 118억 원, 노인일자리 지원사업 40억원, 스마트경로당 구축 14억 원을 추가하고, 장애인 편의증진 활동지원 1억 원, 청년 취·창업 지원 3억 원, 청소년 창업인재 육성 9000만 원을 새로 반영했다.
이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공인·지역산업 지원 강화 방안으로는 소상공인 이차보전 지원 6억 원을 반영하고, 지역화폐 여민전의 캐시백 자금 30억 원을 증액했다.
기업지원을 위해서는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6억 원과 도시첨단산업단지 인력양성 지원 3억 원도 담았다. 아울러 겨울철 비수기 관광 활성화를 위해 문화관광재단 출연금 4억 원, 합강캠핑장 운영비 3억 원을 반영했다.
생활안전과 재해예방 분야에서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피해 농가 살처분 보상금 30억 원, 설해 응급복구 지원 23억 원이 투입된다.
또 교통안전을 위한 무인단속장비 운영비 1억 6000만 원, 자전거도로 사고위험지역 개선사업 1억 원이 각각 계상됐다.
공공시설 안전과 관련해서는 터널 방재등급 및 위험도 평가 2억 5000만 원, 한솔동 행복누림터 방수공사 1억 원을 편성했다.
지역 혁신성장과 삶의 질 향상 예산으로는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위한 'RISE' 사업에 20억 원, 세종 공동캠퍼스 운영비 10억 7000만 원을 증액했다.
또 저상버스 구매 10억 원, 버스 운행손실 재정 보조 59억 원, 세종도시교통공사 버스운영비 40억 원 등 교통예산이 대거 투입된다.
여기에 새로 출범하는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운영비로 28억 원을 편성했다.
이밖에 월인천강지곡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비 7000만 원도 반영됐다.
이번 추경은 세종시의회 상임위 예비심사와 예결특위 본심사를 거쳐 내달 23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