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3분기 국내 누적 신차 등록 대수가 11년 만에 최소를 기록했다. 고금리 기조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등에 따른 글로벌 수요 둔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올해 연간 국내 신차 등록 대수도 2013년 이후 가장 적을 전망이다.
30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총 120만9154대로, 전년 동기 대비 8.7% 감소했다. 2013년 1∼3분기 117만5010대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자동차 업계 탈탄소화 여파로 기존 내연기관차(휘발유차·경유차) 등록은 크게 줄어든 반면, 이를 채워야 할 하이브리드차·전기차 등의 등록이 그만큼 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등록된 신차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휘발유차는 올해 1∼3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9.6%(64만1000대→51만5000대) 줄었다. 경유차도 같은 기간 22만8000대에서 9만9000대로 56.7% 급감했다. 휘발유차·경유차 등록의 총 감소대수는 약 25만5000대다.
유일하게 하이브리드의 약진이 있었지만 그마저도 크게 반등하진 못했다. 올해 1∼3분기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는 35만5000대로 역대 최다였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6000대(27.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기차 등록 대수는 올해 1~3분기 10만8000대로, 지난해 1∼3분기 11만8000대에서 1만대가량(7.9%) 감소했다.
오는 4분기 전망치까지 포함하면 올해 연간 국내 신차 등록 대수도 160만대를 겨우 넘기며 11년 만에 최소를 기록할 전망이다. 앞서 KAMA는 올해 내수 신차 등록 대수가 170만대로 지난해보다 2.8%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부진의 골이 우려보다 더 깊어질 전망이다.
지난 2013년 154만4000대였던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2015년 183만4000대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80만대를 돌파했고, 2020년에는 코로나 여파로 190만6000대까지 증가했다. 그러다 2021년 173만5000대, 2022년 168만4000대, 2023년 172만대로 꾸준히 내리막이다.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 확산으로 누적됐던 지연 수요가 지난해 대부분 해소된 데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둔화가 겹쳐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는 분석이다. 특히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돼 대출을 통해 신차를 구매하던 소비자들의 지갑이 열리지 않는 거이 내수 감소의 주 원인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