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췌장염 발생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췌장염 발생은?

기사승인 2014-12-16 13:50:55
"당뇨병 치료(Diabetes Care) 12일자 온라인판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췌장염을 일으킬까? 이에 대해 일부 관련이 없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지면 실제 발생률은 크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GLP-1 수용체 작용제는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추면서 체중까지 낮추기 때문에 비만하거나 과체중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췌장염 발생이라는 약점을 갖고 있다. 이는 GLP-1 수용제 작용제 뿐만 아니라 인크레틴 기반의 치료 기전을 갖고 있는 DPP-4 억제제도 마찬가지다.

때문에 그 발생건수와 비율에 대해 관심이 높은데 최근 Diabetes Care 12월 12일자 온라인판에 대표적 GLP-1 제제인 리라글루타이드의 췌장염 발생의 상관관계를 설명해줄만한 연구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진행됐던 리라글루타이드 2상과 3상임상 연구에 참여환 환자로부터 얻은 것으로 급성 및 일반 췌장염 발생을 대조약(타 당뇨약)과 비교했다(각각 6345명, 1846명).

연구를 종합한 결과, 급성 췌장염은 리라글루타이드군에서 총 8건이 발생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1건이 관찰됐다. 이를 통계적 발생률로 환산하면 리라글루타이드군의 급성 췌장염 발생률은 1000환자-연당 1.6건이며 대조군은 0.7건으로 정리된다.

세부적 분석에서 리라글루타이드군에서 나타난 총 8건의 췌장염중 1건은 급성 췌장염 진단 기준을 중촉하지 못했고, 6건은 급성 췌장염을 발생시킬 위험 요소가 있거나, 리라글루타이드 투약 후 6개월 이상에서 발생한 경우였다.

아울러 만성 췌장염은 리라글루타이드군에서 4건이 발생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4건중 1건만 진단 기준을 충족했을 뿐 나머저 3건은 진단기준 미충족 또는 정보부족에 해당됐다.

이번 연구 주 저자인 영국 노보노디스크 의학부 Troels M. Jensen 박사는 ""관찰 연구에서 리라글루타이드의 급성 췌장염이나 만성 췌장염은 타 당뇨약 대비 수치적으로는 높게 나타났으나, 정확한 진단기준에 충족시키는 사례는 많지 않았다""면서 ""리라글루타이드를 사용한 환자에서 췌장염 발생이 높다는 것에 대한 확실한 결론은 내릴 수 없다""고 말했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박상준 기자 sjpark@monews.co.kr"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봉준호 ‘미키17’, 개봉 한 달 만에 美극장서 내린다…7일부터 스트리밍 서비스

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영화 ‘미키 17’ 극장 개봉 한 달 만에 손실을 안은 채 상영을 종료하고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가게 됐다.6일(현지시간) 미국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신작 목록에 따르면 '미키 17'은 오는 7일 오후 9시(미 서부시간)에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공개될 예정이다.미 경제매체 포브스에 따르면 미키 17은 애플TV와 판당고 등 다른 여러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도 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이 영화는 극장 상영을 마무리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