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기종의 환자샤우팅] 수술실 들여다 보기-유령수술과 양방수술

[안기종의 환자샤우팅] 수술실 들여다 보기-유령수술과 양방수술

기사승인 2016-11-08 09:55:09
글·안기종 대표(한국환자단체연합회)

[쿠키 건강칼럼] 최근 우리나라 수술실의 어두운 풍경이 ‘유령’과 ‘도사’라는 두 단어로 종종 묘사된다. 쉬운 말로 우리나라 수술실에 ‘유령의사’와 ‘도사의사’가 활동하고 있다는 얘기다. 유령의사가 하는 수술은 유령수술(ghost surgery)로, 도사의사가 하는 수술은 양방수술(Overlapping Surgery)로 불린다. 

유령수술이란 수술실에서 전신마취제를 투여 받은 환자가 의식을 잃으면 처음 환자를 진찰하고, 수술계획을 세우고, 설명 후 동의까지 받고 직접 수술하기로 약속했던 집도의사는 수술에 참여하지 않고, 생면부지의 의사가 수술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양방수술이란 수술실에서 환자 두 명 이상을 동시에 또는 일부 겹쳐서 수술하면서 집도의사는 핵심부분만을 진행하는 수술을 말한다.  

병원의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환자동의 없는 수술실에서의 집도의사 몰래 바꿔치기 이른바 ‘유령수술’은 현행법상 당연히 사기죄로 형사처벌을 받고, 살인죄·상해죄의 성립여부도 최근 논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 두 명 이상을 동시에 또는 일부 겹쳐서 수술하는 양방수술은 현행법상 마땅한 형사처벌 규정이 없고, 의료현장에서는 오래된 관행이다.

환자들도 소독, 마취, 봉합 등 부수적인 수술은 보조의사가 하고, 핵심적인 수술만 집도의사가 한다는 것쯤은 이미 상식으로 알고 있다. 의학드라마를 보더라도 집도의사가 수술실에서 절개와 핵심부위 수술을 한 후 봉합 등 사후처리는 보조의사에게 맡기고 수술실을 나오는 장면은 흔히 등장한다.

한번 생각해 보자, 간암 3기 진단을 받은 환자가 4기로 악화되는 것을 막는 유일한 방법은 신속한 수술뿐이다. 그러나 수술 대기자가 많아서 몇 달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면 의사나 환자 모두 양방수술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

특히, ‘명의’로 소문난 외과의사의 경우 수술 대기환자들은 늘 넘쳐난다. 문제는 후순위 수술 대기환자의 질병이 악화되어 긴급 수술을 받지 않으면 생명이 위독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당연히 양방수술을 시행한다. 이 경우 대개 의사는 환자에게 양방수술을 한다는 설명을 하지 않고, 환자도 의사에게 양방수술인지 여부를 묻지 않는다. 이런 응급상황에서는 양방수술인지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환자를 살리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천재지변이나 대형 참사가 발생해 다수의 긴급수술이 필요하거나 중증질환이 악화되어 생명이 위협받는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양방수술 시행은 불가피하다. 그런데 의료현장에서 의사들은 여기에 더해 양방수술은 환자들의 수술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수술팀과 수술실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고, 수련의나 전문의들에게 더 많은 수련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간에 병리과·영상의학과·마취과 전문의들과의 협업을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긴급한 상황이 아닌 경우까지 양방수술을 확대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안 된다. 만일 양방수술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회적 논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양방수술도 수술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안전성은 담보되어야하기 때문이다.

한 수술실에서 환자들을 여러 침대에 눕혀놓고 양방수술을 한다거나, 수술실간 이동할 때 손을 씻지 않거나 가운을 갈아입지 않고 양방수술을 한다면 심각한 감염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어떤 소문난 외과수술 명의처럼 하루에 양방수술을 4~5회씩 무리해서 진행한다면 집도의사의 피로가 누적되어 심각한 의료사고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양방수술이 허용되는 긴급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핵심부분 수술만은 반드시 집도의사가 해야 한다. 핵심부분 수술을 이 수술실 저 수술실 옮겨 다니면서 한다면 아무리 능숙한 집도의사라고 하더라도 의료사고를 낼 위험이 커진다.

또한 집도의사의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수술의 핵심부분의 범위를 함부로 축소해 숙련이 덜 된 보조의사에게 함부로 맡겨서는 안 된다. 이럴 경우 양방수술이 불법인 유령수술이 되기 때문이다. 양방수술과 유령수술은 백지 한 장 차이에 불과하다. 따라서 긴급한 상황에 양방수술이 허용되는 수술의 핵심부분 내용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학회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정교하게 마련해야 한다.

미국에서도 양방수술에 관한 논란이 발생하자 2016년 4월 미국외과학회에서는 양방수술 진행 시 수술팀의 집도의사는 동시에 핵심수술(Critical Portion of the Case)을 시행할 수 없고, 양방수술을 진행하게 되면 환자와 환자보호자에게 ‘수술팀 내에서 집도의사가 핵심수술을 하고, 나머지 부분은 다른 수련의나 전문의가 시행한다’는 내용을 설명하고 수술동의서로 받도록 권고하였다.

환자와 병원 간 체결한 진료계약은 민법상 계약이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나 환자보호자에게 사전에 양방수술의 필요성과 기본적인 사항을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받는 과정을 거치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는 양방수술이 수술 횟수를 늘여 병원 수익을 올리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관리감독도 강화해야 한다. 수술 대기자가 많은 대형병원들이 환자 2~3명을 묶어서 양방수술을 기본으로 하는 수술시스템을 운영할 경우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수술실은 CCTV나 내부제보가 없는 한 그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알 수 없다는 사실을 정부는 늘 명심해야 한다.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