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를 향한 경북 포항지역의 러브콜이 뜨겁다.
포스코의 침상코크스 포항 공장 투자 계획이 틀어지자 위기감을 느낀 정치권, 포항시 등이 뒤늦은 'SOS'를 보내고 있다.
포스코는 포항의 '비빌 언덕'으로 지역사회가 어려움이 처할 때마다 통 큰 선물 보따리를 풀었다.
최근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서울 근무 직원 250명을 포항 본사로 발령냈다.
이들이 살 집을 찾아 나서면서 당장 부동산 업계가 '반짝 특수'를 누렸다.
포스코의 막강한 영향력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지진 피해 배상, 특별법 제정 등이 표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포스코의 침상코크스 포항 공장 투자 유보 결정은 치명타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지역사회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포스코의 환경문제 등을 지적하며 날을 세우던 허대만 더불어민주당 포항 남·울릉 지역위원장이 지난 16일 오형수 포항제철소장을 만나 도움을 구했다.
그는 시민들이 상실감을 느끼지 않도록 적극적인 추가·대안투자를 제안했다.
지난 20일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서재원 포항시의회 의장, 전우헌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최정우 포스코 회장을 만나 투자 요청을 했다.
이 시장은 이 자리에서 블루밸리 국가산단 내 이차전지 음극재공장 건립,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자유특구 참여 등을 요구했다.
포스코 측은 포항시가 제기한 사업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다행히 오는 2021년까지 포항에 총 3조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 또 다른 희망을 안겨줬다.
하지만 포스코의 약속에 대한 지역사회 반응은 '기대 속 불안감'.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투자가 유보된 침상코크스 공장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특히 최정우 회장 면담 후 일부 부분에서 포항시와 포스코의 입장이 엇갈려 무조건적으로 신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IMF 외환위기도 비켜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경기침체와 거리가 멀었던 포항이지만 현재 처한 상황은 녹록지 않다.
지역의 한 원로는 "포스코의 투자가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면 안된다"면서 "이제는 지역사회와 포스코 모두 진심을 갖고 상생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포항=성민규 기자 smg51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