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민수미 기자 =‘걱정을 안고 살아온 것’ 인간이 죽을 때 많이 한다는 후회 중 하나입니다. 고민한다고 해결될 일은 없지만, 최근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과 정의기억연대(정의연)를 둘러싼 의혹들에는 속을 태울 수밖에 없습니다. 이 일의 끝에 무엇이 남을지 얼추 짐작 가기 때문입니다.
사건의 중심에는 윤 당선인이 있습니다. 그를 둘러싸고 회계 부정, 쉼터 매입·매각 관련 배임, 개인 계좌 후원금 등의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의연에 이어 ‘나눔의 집’과 관련해서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모두 위안부 피해자들과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걱정과 우려가 앞섭니다. 이용수 할머니의 입으로 의혹을 밝혔다는 점도 마음이 아픕니다.
‘사실이 맞다, 아니다’ ‘사과했다, 안 했다’를 두고 진실 공방이 오가고 있습니다. 친일 프레임, 진영논리까지 나오며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의혹을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걱정되는 것은 시시비비가 가려지고 난 이후입니다.
지난 30여 년, 위안부 운동은 고난의 길을 걸었습니다. 잘못을 인정 않는 일본과 손을 놓은 정부, 사안에 무지한 이들을 상대로 힘겨운 싸움을 벌여왔습니다. 고령의 할머니들은 피해 사실을 알리기 위해 국내외 공개 증언을 다녀야 했고, 매주 수요일에는 집회에 나서야 했습니다. 눈물로 진행해왔던 위안부 인권 운동이 이번 의혹으로 위축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할머니들을 위한 후원 역시 걱정입니다. 논란이 후원금 유용 등에 집중된 만큼 기부를 꺼리는 이른바 ‘기부 포비아’ 확산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공중으로 솟아오른 동전이 떨어지는 방향이 앞면이든 뒷면이든 피해자는 다시 위안부 할머니들이 되는 것이죠.
최근 또 한 명의 위안부 피해자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받지 못한 채 말입니다. 허무하게 스러지는 진실의 목소리 앞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논쟁에 휩쓸리지 않고 정확한 시각으로 위안부 문제를 바라보는 것입니다. 지속적인 관심이 있어야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 회복은 물론 가해자의 사과를 받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일은 우리 사회의 몫입니다. 더불어 윤 당선자의 책임 있는 해명과 진실 규명 역시 동반되어야 합니다. 누구도 위안부 피해자를 상대로 사욕을 채울 수 없다는 점을 알려야 합니다.
mi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