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년…‘스마트 혁신강국’ 위상 높인다 [2030 부산엑스포]

앞으로 1년…‘스마트 혁신강국’ 위상 높인다 [2030 부산엑스포]

기사승인 2022-09-26 08:32:32
부산 수영구 광안리해수욕장 일대에서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드론쇼가 펼쳐지고 있다. 부산시
2030부산세계박람회(부산 엑스포) 유치전의 서막이 올랐다. 유치에 성공한다면 61조원의 경제 파급, 50만명 고용 창출 등 유무형의 기대효과를 누릴 수 있어 민관이 합동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엑스포는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3대 국제행사로 불린다. 한국이 부산 엑스포를 개최하면 프랑스, 미국, 캐나다, 일본, 독일, 이탈리아에 이어 3대 행사를 모두 개최하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된다.

이번 부산 엑스포는 앞서 개최한 대전엑스포(1993년)나 여수엑스포(2012년)와 위상이 다르다. 대전·여수 엑스포는 특정 주제를 정하고 개최하는 인정 엑스포였다. 부산 엑스포는 5년 주기로 열리는 국제박람회기구(BIE)의 대규모 등록 엑스포다. 인류의 산업, 과학기술 발전 성과를 소개하고 개최국의 역량을 과시하는 문화올림픽이기도 하다. 행사 비용을 개최국이 부담하는 인정엑스포와 달리 등록 엑스포는 개최국이 부지를 제공하고, 참가국이 전시관 설치 비용을 전담한다. 개최 기간도 최장 180일까지 가능하다.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를 주제로 하는 부산 엑스포는 스마트 혁신강국으로 대한민국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기술(ICT)·제조업 강점을 바탕으로 초연결 미래 사회 모습을 구현할 방침이다. 인공지능, 차세대 모빌리티, 6세대 통신(6G) 등 혁신기술의 장이 펼쳐진다. 또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합한 마스(MaaS)와 스마트 공항 및 항만, 스마트 도시 관련 기술에서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

정부는 부산에서 엑스포가 열리면 생산 43조원, 부가가치 18조원 등 총 61조원의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래픽=이해영 디자이너
국격 상승은 물론 경제 활성화도 기대된다. 정부는 부산에서 엑스포가 열리면 생산 43조원, 부가가치 18조원 등 총 61조원의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총사업비 6조4000억원의 10배에 가까운 수치다. 고용창출도 5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17조원의 경제 유발 효과를 가져온 지난 2002년 월드컵이나 29조원의 경제 유발 효과를 낳은 2018 평창올림픽과 비교해도 막대한 파급이다.

엑스포를 통해 부산이 한류 전파의 전진기지가 될 수도 있다. 부산국제영화제, 부산불꽃축제, 웹툰·게임·가상현실 등 부산 콘텐츠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동북아 해양수도의 이점을 활용, 한반도·동북아 평화의 해상문화교류 거점도시 역할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엑스포 개최 장소인 부산 북항 일대에 세계 수준의 해양산업 클러스터, 전시컨벤션 타운을 조성해 경제 부흥과 국가 균형발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장담은 섣부르다. 2030 엑스포 유치 경쟁에는 부산과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의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가 3파전을 벌이고 있다. 애초 유치 후보국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도 있었다.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러시아는 유치 신청을 철회했다.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추진 대상 사업지인 부산 북항 일대 전경. 부산시
‘오일머니’를 앞세운 사우디는 강력한 경쟁상대다. 사우디 왕족 일가 등이 BIE 회원국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개발도상국을 상대로 활발한 교섭활동에 들어가면서 승부의 추가 살짝 기운 상태다. 현재까지 사우디의 리야드 엑스포를 공개 지지한 곳은 50개국인 반면 부산 엑스포 지지를 표명한 국가는 10여개다. 한국은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필두로 한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가 엑스포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여기에 국회 차원의 유치지원 특별·협력위원회, 재계 중심의 테스크포스(TF)도 홍보활동 물론 교섭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모색 중이다.

후보국 1차 경쟁 프레젠테이션(PT)은 지난해 12월에, 2차 PT는 지난 6월에 있었다. 후보 도시는 앞으로 6개월 단위로 3번의 경쟁 PT를 더하게 된다. 정부는 오는 9월까지 BIE 사무국에 최종 유치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또 올해 12월에서 내년 3월 사이 BIE 조사단의 현지 실사를 받아야 한다. 최종 유치 국가는 오는 2023년 11월 프랑스 파리에서 170개 BIE 회원국의 비밀 투표를 통해 발표한다. 

민수미 기자 min@kukinews.com
민수미 기자
min@kukinews.com
민수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