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 전국 최초 학교 급식소용 ‘말림방지장갑’ 개발

경북교육청, 전국 최초 학교 급식소용 ‘말림방지장갑’ 개발

급식 종사자 끼임·절단 사고 예방, 혁신적 안전 보호구

기사승인 2025-02-17 16:00:30
'말림방지장갑' 겉장갑. 경북교육청 제공.

경북교육청은 학교 급식소에서 발생하는 끼임·절단 사고를 예방하는 ‘말림방지장갑’을 전국 최초 개발·보급한다고 17일 밝혔다. 

최근 학교 급식소에서 야채분쇄기, 야채절단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등 회전체 기계를 다루다 발생하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고무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이 기계에 말려들어 갈 경우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처럼 절단 사고는 재활과 치료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능 상실과 기형으로 인한 정신적·정서적 피해까지 초래된다. 

그러나 ‘산업안전보건법’과 ‘학교 급식 위생관리 지침’의 안전과 위생 규정이 상충하면서 적절한 보호구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경북교육청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7월 ‘학교 급식소용 말림방지장갑 개발’에 들어갔다. 

이번 개발된 ‘말림방지장갑’은 끼임과 절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속 장갑’과 ‘겉 장갑’ 이중 구조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말림방지장' 속장갑. 경북교육청.
속 장갑은 끼임 사고 발생 시 손가락 절취부가 순간적으로 분리돼 손이 더 이상 기계에 말려들지 않도록 설계됐다.  

또 겉 장갑은 실리콘 소재로 제작해 땀과 수분으로 인한 유착을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히 손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개발됐다.

경북교육청은 상반기까지 도내 754개 조리교(기관)에 총 8074벌의 ‘말림방지장갑’을 보급할 계획이다. 

임종식 교육감은 “말림방지장갑은 단순한 보호구를 넘어 급식종사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혁신적 도구”라며 “이를 통해 학교 급식소에 혁신적 안전 문화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동=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
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
노재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