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라면서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도 ABC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일부 전자제품이 앞서 상호관세에서 빠진 것은 오히려 이들 제품의 중요도가 높아 별도 관세를 부과하기 위함이며, 한두 달 내 발표할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해당 제품들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반도체 관세와 의약품 관세를 한두 달 내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은 “스마트폰, 컴퓨터, 평판 TV 디스플레이,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 등 상호관세 면제 대상 품목들은 향후 반도체 관세 범주에 포함될 것”이라며 “이 관세는 미국 내 제조 유인을 위한 특별 조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대통령 각서에서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반도체 등 전자제품 품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같은 날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이를 공지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등 전자제품은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125% 상호관세, 그리고 한국을 비롯한 나머지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트럼프 대통령의 유예 조치로 7월 8일까지는 10% 기본관세만 적용)를 내지 않아도 된다.
이에 미국 언론과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제품은 아예 관세에서 면제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민주당을 비롯한 일각에서는 정책에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