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29일 최종 임금 협상을 위한 막판 조정에 돌입했다. 이날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노조는 30일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서울시와 서울 버스노동조합 등에 따르면 노사 양측은 이날 오후 5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서 최종 조정회의를 연다. 노조는 임금·단체협약이 이날까지 타결되지 않을 시 30일 첫차부터 쟁의행위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올해 임단협의 핵심 쟁점은 정기 상여금 통상임금 반영과 임금 인상, 복지 확대, 고용 안정이다. 노조는 △운전직 호봉제 상향(9→11호봉) △운전직 시급 8.2% 인상 △정년 만 65세 연장 △하계 유급휴가 신설 △고용안정협약 체결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로 바뀐 통상임금 적용 범위를 두고 입장차를 어떻게 좁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만일 노조가 파업을 결정할 경우 2년 연속 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노조는 지난해 3월 29일에도 파업했다가 약 11시간 만에 임금 인상률 4.48%, 명절 수당 65만원에 합의한 바 있다. 이는 12년 만의 파업이었다.
최근 3년 서울 시내버스 노사 임금 협상 어땠나
최근 3년간 서울 시내버스 노사 협상은 매년 긴박한 줄다리기를 반복해 왔다. 지난해에는 노조가 12.7%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2.5% 인상안을 제시해 극심한 대립각을 세웠다. 결국 명절수당 65만 원을 신설하는 방식으로 인상률 5.6%를 맞추면서, 예정됐던 파업은 시작 11시간 만에 철회됐다.
2023년에는 상대적으로 순조롭게 협상이 이뤄졌다. 당시 임금 3.5% 인상에 합의했으며, 전국 최초로 조정 전 지원제도를 통해 조기 타결을 이끌어내는 성과를 거뒀다. 다만 인상폭은 소비자물가 상승률(5.1%)을 밑도는 수준이었다.
다만 올해는 정기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와 정년 연장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어, 상황이 녹록지 않은 실정이다. 올해는 임금 인상 정도에 대한 노사 간 입장 차가 커 쟁의행위가 안전운행이 아닌 전면 파업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서울 버스가 전면 멈춰설 경우 당장 30일부터 출퇴근길 대란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시는 지하철을 증회하고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시는 버스 운행 간격, 운행 속도, 정류소 정차 시간 등에 이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서울경찰청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즉각적인 조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