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은 일자리 창출과 신약개발에 초점이 맞춰졌다.
15일 오후 열린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공청회에서는 5개년 종합계획(안)의 추진방향이 발표됐다.
2차 종합계획은 ‘국민에게 건강과 일자리를 드리는 제약강국으로 도약’을 모토로 ▲R&D- 신약개발 역량제고를 위한 R&D 강화 ▲인력양성- 제약산업 일자리 창출 및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인력양성 ▲수출지원- 현장수요 중심의 수출 지원체계 강화 ▲제도개선- 선진 제약강국 도약을 위한 제약산업 육성기반 조성 등의 4대 목표와 세부 12대 추진전략을 세웠다.
제약산업 일자리의 경우 2016년 9만5000명에서 2018년 11만명, 2022년 14만명, 2025년 17만명을 목표로 정했다. 또 글로벌 신약개발과 관련해서는 2016년 3개에 불과했지만 2018년 5개, 2022년 17개, 2025년 25개를 목표로 잡았다.
김주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은 “현재 해외에서 1상에서 3상을 진행 중인 파이프라인이 30여개로 파악됐다. 이를 기반으로 산출한 것”이라며, “정부가 R&D에 투자할 시간은 지난 듯하다. 늘리긴 하겠지만 민간이 투자할 수 있도록 세제혜택, 인허가 개선, 국산신약 약가지원 등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현장의 의견수렴을 위해 ‘제약산업 중장기 전략기획단’(산학연관 전문가 80여명 참여)을 구성해 논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마련됐다. 이번 종합계획(안)은 보건복지부장관 인준과 제약산업육성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1차(2013~2017년) 종합계획은 ▲신약개발 R&D 투자강화(정부 R&D 지원 2배 확대) ▲투·융자 자본조달 활성화(5년간 누적 5조원 투입) ▲핵심 전문인력 유치·양성(일자리 5만8000개 및 전문인력 1만명 양성) ▲전략적 해외 진출 확대(해외 수출 11조원 달성) ▲선진 수준의 인프라 구축(임상시험 국가순위 5위권 진입) 등이 5대 목표로 진행됐다.
김주영 과장은 “약 8조원 규모의 정부, 민간 R&D 투자로 신약 개발 및 대규모 기술 이전 등 글로벌 수준의 국내 의약품 우수성을 인정받았다”며 “국내 제약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제약 맞춤형 펀드를 운용해 해외투자 성공사례 창출, 신약 연구개발·시설투자 등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로 민간 투자유인 제고 등의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김주영
(사진)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은 국내 제약산업에 대해 “국내 개발신약 사례는 있으나 글로벌 블록버스터가 부재하고,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비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대학·연구소 등과 제약기업 간 연계부족으로 R&D 성과가 제품화로 이어지기 어렵고 신약개발 성과도 미흡할 뿐 아니라 최근 신종·인수공통 전염병 및 생물테러의 위협은 급증하며 안정적인 백신공급이 중요해지지만 백신 자급률은 저조하다는 것이다.
이에 신약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정부 등의 전략적인 R&D 계획 마련 및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는데 그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R&D 및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 등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차세대 미래 유망 분야를 육성해야 한다. 특히 기초연구 성과로부터 실용화 성과 도출을 위해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R&D 활성화, 첨단의료복합단지 기능 강화 등 지원체계의 고도화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인력과 관련해 제약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일자리 창출의 블루오션이지만 창업을 위한 여건이 아직 부족하다며, 산업을 적극 육성해 고급 일자리를 창출하고,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수출과 관련해서는 인지도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김 과장은 “국내 의약품의 낮은 인지도, 현지의 복잡한 인허가 절차 및 시장정보 부족 등은 개별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 곤란하다”며 “복지부, 산자부 및 식약처 등 범부처 협력기반을 구축하고, 수출역량 향상 및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제도 개선과 관련해서는 제약산업 분야의 민간투자가 아직 미흡하고, 이를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성격의 펀드나 세제혜택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펀드조성, 세제혜택 확대 등을 통해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고, 바이오의약품 분야 인허가, 약가제도 개선 등 신약개발 활성화 지원이 필요하다. 또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기준 개선, 선진 의약품 유통체계 확립 등 제약산업 생태계 변화반영을 위한 제도 마련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국내 제약산업의 기회요인으로 ▲빠른 노령화 진행속도와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로 의료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의약품에 대한 수요 확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첨단 의료기술 융복합 및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도 제고 등에 따른 제약산업 성장 가능성 증대 ▲희귀·난치질환에 대한 표적 치료 및 환자 맞춤형 치료 가능성 등으로 바이오의약품 개발이 확대되며 관련시장의 급속한 성장 ▲중국, 인도 등 파머징 국가들의 비오리지널 의약품, 제네릭 의약품 등에 대한 수요 확대로 국내 의약품경쟁력 확보 가능 등을 제시했다.
반면 위기요인으로는 ▲미국 트럼프 정부수립,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보호무역주의 흐름과 사드 배치로 인한 대 중국 수출위기 등의 국제정세 불안 ▲시장경쟁 심화로 미국·EU 등 선진국과 중국·인도 등 파머징 국가 사이에 낀 ‘넛 크래커’(Nut-cracker)로 전락우려 ▲나고야의정서 당사국 지위 획득에 따라 생물 유전자원을 원료로 하는 제약산업에 부정적 영향 등을 우려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