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아프리카’를 합친 ‘대프리카’란 신조어까지 얻은 대구가 ‘폭염 도시’란 수식어를 시원하게 벗어던지고 있다.
23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폭염(33도 이상) 일수는 2014년 22일, 2015년 21일, 2016년 32일, 2017년 33일, 2018년 40일로 증가 추세다.
전국 주요 도시의 연도별 폭염 일수 현황을 봐도 2011년부터 2015년까지는 대구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2016년부터는 합천과 홍천, 영천, 전주 지역의 폭염 일수가 대구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폭염 일수는 합천이 47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43일), 전주(41일), 대구·영천·홍천(40일) 순이다.
최저 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 역시 2014년까지는 대구가 가장 많았지만 2015년부터는 강릉과 서울, 광주, 부산 지역에서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18년 대구의 열대야 일수는 26일로 부산(37일), 광주(30일), 서울(29일), 수원·전주(27일)보다 적었다.
온열질환자 발생률도 전국 평균을 크게 밑돈다.
폭염이 극심했던 지난해 인구 1만 명당 온열질환자 발생률은 전국 평균이 0.9명, 대구는 0.49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5년을 기점으로 대구가 폭염과 관련된 모든 통계에서 최고 자리를 시원하게 내어 준 것이다.
대구시는 이 같은 원인을 지난 1990년대 초반부터 추진한 대구시 녹화사업이 효과를 나타내고 최근 5년간 폭염 저감시설을 대폭 확충한 덕분으로 보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2017년부터 쿨링포그, 쿨루프, 그늘막 등 폭염 저감시설을 크게 늘리고 있으며, 2014년 4곳에 불과했던 물놀이장도 18곳으로 4배 이상 늘렸다.
열 반사 성능이 높은 특수안료가 적용된 도료를 바르는 차열성 포장도 2018년과 2019년 시범운영을 거쳐 확대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지난해 9월 재난안전법 개정으로 폭염이 자연재난에 포함됨에 따라 발 빠르게 ‘대구시 폭염 및 도시열섬현상 대응조례’를 제정하고 폭염전담팀을 신설하는 등 통합 폭염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각 구·군별로 열대야로 밤잠을 못 이루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폭염특보 발효 시 야간 폭염대피소를 시범운영 할 예정이다.
또 이동이 쉽지 않은 취약계층을 위해서는 ‘집안의 폭염대피소 사업’을 통해 냉풍기도 200대를 지원했다.
시는 또 무더운 여름철 도심온도를 낮추기 위해 주요 간선도로에 살수차를 동원한 물 뿌리기를 2회에서 3~4회로 확대하고 하루 4회 달구벌대로 클린로드시스템을 가동한다. 분수 등 수경시설은 밤 10시까지 연장 가동한다.
시민들과 함께하는 양산쓰기 캠페인도 꾸준히 진행할 계획이다.
폭염 시 양산으로 햇빛을 가릴 경우 온도를 7도 정도 낮출 수 있으며, 체감온도는 10도 정도 떨어진다,
시는 또 폭염 대응 조례에 따라 5개년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있으며 ‘폭염 도시’에서 ‘폭염 극복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대구시 폭염종합 안전센터 건립사업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또 2021년까지 180억 원을 들여 도시바람길 숲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클린로드 시설 확충에도 2021년까지 21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최삼룡 대구시 시민안전실장은 “최근 5년 동안 대구시와 8개 구·군이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해 폭염 경감시설을 확충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시민들도 폭염이 자연재난에 포함된 만큼 각별히 개인 건강관리에 유의해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구=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