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6일 (일)
금감원 “해지율 가정 과도해”…DB손해‧현대해상 등 해당

금감원 “해지율 가정 과도해”…DB손해‧현대해상 등 해당

기사승인 2024-11-12 19:00:26
금융감독원 제공
박동주 기자
park@kukinews.com

일부 보험사가 그동안 무‧저해지 상품의 완납 전 해지율을 과도하게 적용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감독당국은 이러한 관행에 문제가 있다는 입장이다.

무‧저해지 상품은 보험료 납입 기간 내 해지하면 환급금이 없거나 적지만, 완납하고 나면 더 환급받는다. 완납이 가까워 환급금이 커지면 해지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일부 보험사는 이 시기에도 해지율이 높을 것으로 가정했다. 지급 예상 환급금을 줄이고 보험사의 기대 수익을 늘린 것이다.

12일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입수한 2022~2024년 보험사 무‧저해지 상품 해지율 자료를 보면, 상품별 납입기간별 가정해지율이 7년 이상 1.5% 이상으로 유지된 보험사는 △DB손해보험 △현대해상 △KB손해보험 △흥국화재 △한화손해보험이다.

DB손보의 30년납 상품은 납입 13년차부터 29년차까지 해지율을 일정하게 가정했다. 해지율 2.5%를 유지하다가 완납 해인 30년차에야 0%로 해지율을 급격하게 떨어뜨렸다. 다른 상품도 1.9% 해지율을 같은 기간 동안 유지하다가 완납 해에 해지율이 급감했다.

현대해상은 30년납 상품의 납입 10년차부터 27년차까지 해지율을 2.0%로 유지했다. 완납 3년 전이 되어서야 해지율을 0%대로 줄였다. 납입 12년차부터 27년차까지 30년납 무‧저해지 상품 해지율을 2.7%로 고정한 30년납 상품도 있었다. 이 상품도 완납 3년 전부터 해지율이 떨어졌다.

KB손보의 30년납 상품은 납입 12년차부터 20년차까지 해지율이 1.5%였다. KB손보는 금감원에 납입 20년차 이후 해지율을 제출하지 않아 최대 언제까지 이 해지율을 유지했는지 알 수 없었다.

흥국화재는 30년납 상품의 납입 12년차부터 27년차까지 해지율을 1.3%로 유지했다. 50년납 상품은 납입 12년차부터 47년차까지 해지율이 같았다. 해지율 1.5%를 같은 기간 동안 유지한 상품도 있었다. 현대해상처럼 흥국화재도 완납 3년 전부터 해지율을 내렸다.

한화손보의 20년납 상품은 납입 11년차부터 납입 18년차까지 해지율 2.0%를 유지했다. 완납 1년 전인 납입 19년차부터는 해지율이 0%로 급격하게 떨어졌다. 같은 기간 해지율 1.5%와 1.6%를 유지한 상품도 있었다.

금융감독원 보험리스크관리국 관계자는 같은날 “제시한 그래프 형태로 가는 것이 개선안의 의도”라면서 “일정한 해지율이 7년이나 10년씩 유지되는 것은 부적정하고 불합리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박동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MLB 적응 마친 이정후, 3안타 폭발…3할 타율 진입

이정후(26)의 방망이가 심상치 않다. 개막 후 6경기 연속 안타 행진 및 3안타 경기를 만들며 컨디션을 끌어올렸다. 타율은 어느덧 3할대다.이정후는 6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시애틀 매리너스와 홈경기에서 3번 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3안타 2득점 도루 1개를 기록했다. 샌프란시스코는 이정후의 맹활약에 힘입어 4-1로 승리했고, 6연승을 달리며 내셔널리그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