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 전문가 55%는 2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했다. 내수회복 지연에 경기하방 리스크가 확대된 영향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는 21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2025년 3월 채권시장지표(BMSI)’를 발표했다.
설문응답자의 55%는 오는 25일 열리는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준금리 인하 응답자는 직전 조사 대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45%는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
협회 관계자는 “내수회복 지연으로 경기하방 리스크가 확대돼 2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예상이 직전 조사대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물가 BMSI는 96.0으로 전월(91.0) 대비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BMSI는 100을 기준으로 이를 뛰어넘을 경우 채권가격 상승(금리인하)을 기대한다. 반면 100을 하회하면 채권시장 심리가 위축됐음을 나타낸다.
지난해 국내 소매판매가 전년 대비 감소(-2.2%)한 것으로 발표되는 등 내수부진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물가하락 응답자는 전월 대비 늘어났다.
환율 BMSI는 93.0을 기록해 전월(119.0) 대비 악화됐다. 원·달러 환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데도 글로벌 관세전쟁 현실화 우려로 인해 환율상승 응답자가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