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명이 숨진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공사장 화재와 관련해 유가족들이 투명한 정보 공개와 철저한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나섰다.
유가족과 중대재해 없는 세상만들기 부산운동본부(운동본부)는 22일 오전 부산 기장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현장에서 유가족 요구안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유가족 대표는 “지난 20일 부산환경공단 해운대사업소에서 진행된 피해 유족 대상 부산시 합동 설명회는 면피용 설명회였다. 부산시장이 직접 컨트롤타워 수장이 돼 사고 조사와 진상규명에 앞장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생존자 증언에 따르면 반얀트리 공사 중 이전에도 불이 났었는데 철저한 진상규명이 진행돼야 한다”며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인데 삼정이 현장을 관리하고 있어 (증거)훼손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유가족은 합동분향소 운영 기준에 미달하게 됐다며 합동분향소 설치를 거부하는 부산시 대응도 질타했다.
그는 “합동분향소를 설치하겠다고 보도자료를 냈던 부산시가 설명회에서는 ‘10명 이상 사망할 줄 알았다’, ‘30명 이상 부상자가 발생해야 합동분향소를 설치할 수 있다’고 유가족들에게 망발했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 유가족들은 사고 9일 만에 화재가 발생한 리조트 내부에 들어갔다. 그동안 경찰은 현장보존을 이유로 유가족 출입을 제한했었다.
시공사인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는 화재 9일 만에 사과문 형식의 자료를 내고 “고인과 유가족, 부상자분들께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며 “국민 여러분께도 큰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를 드린다”고 전했다.
또 “삼정기업 임직원들은 사고 발생 직후부터 빈소를 방문해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하고 충분한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사고 수습과 원인 파악 등으로 공식적인 사과가 늦어져 매우 죄송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