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1채’·‘얼죽신’ 열풍…지난해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역대 최고

‘똘똘한 1채’·‘얼죽신’ 열풍…지난해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역대 최고

기사승인 2025-02-23 11:56:56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송파구와 강남구 아파트 단지 모습. 곽경근 대기자

지난해 지방 등 서울 외 거주자의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똘똘한 한 채’와 ‘얼어 죽어도 신축 선호’ 등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외 거주자(이하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1.5%로 2006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06년 17.8%를 기록한 이후 10년 동안 17%∼18%대의 비슷한 비중을 유지했다.

그러다 2017년에 19.9%로 늘어난 뒤 부동산 호황기인 2021년에 처음으로 20.0%로 올라섰다. 이후 아파트값이 급락하며 거래 절벽이 심화했던 2022년은 18.7%로 주춤했다가 2023년에 다시 20%대(20.9%)를 회복했다.

지난해의 경우, 금리 인상 여파로 아파트값 하락과 전세사기와 빌라 기피 현상으로 인해 아파트 선호도가 높아졌다. 특히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며 부동산 ‘안전자산’격인 서울 아파트에 매수자들이 몰린 것으로 풀이됐다.

구별로 지난해 외지인의 매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강동구로 27.3%에 달했다. 2023년 22.3%에서 5%p(포인트) 급증하며 2006년 조사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어 광진구와 은평구가 각각 25.6%, 25.3%로 기록했다. 역시 2006년 이후 외지인의 매입 비중이 가장 높았다. 금천구(24.7%)와 영등포구(24.0%), 용산구(23.6%), 마포구(22.7%), 송파구(22.5%), 서대문구(22.2%) 등도 외지인 매입 비중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아파트값이 가장 비싼 강남구와 서초구는 외지인 매입 비중이 각각 21.5%, 21.2%를 차지하며 전년도(강남구 22.6%, 서초구 25.0%)보다 감소했다. 이는 강남권 아파트값이 급등하며 가격 부담이 커지자 상대적으로 외지인의 매입 비중은 감소했기 때문이다. 외지인 비중은 줄었으나 서울시 내 거주자의 매수가 늘었다.

업계는 지난 12일 서울 강남구 대치·삼성동, 송파구 잠실 일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대거 풀리면서 올해 서울 강남권의 외지인 매입 비중은 이보다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