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6일 (일)
서울 10가구 중 4가구는 ‘1인가구’…맞춤형 지원 확대

서울 10가구 중 4가구는 ‘1인가구’…맞춤형 지원 확대

기사승인 2025-03-31 10:23:32
1인가구 맞춤형 경제교육. 서울시 제공
이예솔 기자
ysolzz6@kukinews.com

서울시는 혼자 살며 느끼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외로움 없는 서울’을 만들기 위한 빌드업에 돌입하는 것이다.

시는 1인 가구가 혼자여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일상지원 △자립지원 △연결지원 3개 분야 34개 사업의 맞춤형 지원체계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서울 1인 가구 수는 지난 2023년 기준 약 163만 가구로, 서울시 전체 가구(414만 가구)의 39.3%를 차지한다. 서울시 10가구 중 4가구는 ‘1인 가구’인 셈이다.

우선 시는 1인 가구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 병원 안심동행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기존 주 2회에서 월 10회로 변경한다. 1인 가구 요리교실을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청년 1인 가구 대상 ‘건강한 밥상’도 5개 자치구에서 11개 자치구로 늘린다.

안심장비 지원도 강화한다. 현관문 안전장치, 스마트초인종, 가정용 CCTV 등으로 구성된 장비를 1인가구 및 스토킹범죄 피해자 등 총 2100여명에게 제공한다. 1인점포 대상 ‘안심경광등’은 지난해 두 배 규모인 1만개를 지원한다.

1인 가구 주거 안정도 도모한다. 정리수납 컨설팅, 경제교육 등을 통해 1인 가구의 자립역량을 강화하고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 서비스,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이사비 및 월세 지원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1인 가구를 위한 다양한 사회적관계망 활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립위험가구 발굴, 상담, 안부확인 등 1인 가구의 고립·은둔·외로움 예방을 위한 사회적 연결 사업도 한다. 25개 자치구 1인가구지원센터에서는 교육·여가문화 프로그램, 상담, 사회적관계망 등 1인 가구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인 가구 지원사업별 구체적인 정보와 운영 시기, 신청방법은 서울시 1인가구포털 또는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서울시 각 실·국 간 긴밀한 협력뿐 아니라 민·관협력체계를 활용해 1인 가구에 대한 전방위적 지원을 추진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했다”며 “혼자여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서울, 나아가 외로움 없는 서울을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예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MLB 적응 마친 이정후, 3안타 폭발…3할 타율 진입

이정후(26)의 방망이가 심상치 않다. 개막 후 6경기 연속 안타 행진 및 3안타 경기를 만들며 컨디션을 끌어올렸다. 타율은 어느덧 3할대다.이정후는 6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시애틀 매리너스와 홈경기에서 3번 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3안타 2득점 도루 1개를 기록했다. 샌프란시스코는 이정후의 맹활약에 힘입어 4-1로 승리했고, 6연승을 달리며 내셔널리그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