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개혁신당 등 3당 대선 후보가 ‘보수 텃밭’에서 맞붙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앞에는 ‘집토끼’ 지키기 외에도 중도층 공략을 위한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이라는 새로운 숙제가 놓였다.
김 후보는 13일 ‘보수 텃밭’으로 불리는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 지역을 찾아 본격적인 유세를 시작했다. 그는 오후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앞 선거유세 현장에서 “대통령 당선 시 1호 법안으로 산업은행(산은) 이전을 위한 법안 통과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또 윤 정부에서 시작한 철도 및 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추진에 이어 광역급행철도인 ‘부울경 GTX 건설’도 강조했다.
이는 윤 정부의 지역 공약 ‘후계자’로서 윤 전 대통령이 추진하지 못한 지역 공약을 이번 대선을 통해 완료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그는 이날 오전 대구 수성구 국민의힘 대구시당을 찾은 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 여부에 대해 “그건 본인의 뜻”이라며 “당이 대통령 보고 탈당하라 말라 하는 건 옳지 않다. 당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가 전날 비상계엄에 대해 사과한 것과 달리 윤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를 하지 못하는 것은 극우층 표심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전히 당내에서는 대선 승리를 위한 중도층 표심을 확장하기 위해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재설정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이에 김용태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SBS 라디오에 출연해 “(이번주) 목요일에 비대위원장에 정식 임명이 되면 후보님이 관련해서 말씀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며 “당내의 콘센서스(합의)를 도출해내서 국민 상식에 맞는 판단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는 김 후보가 계엄과 윤 전 대통령 탈당 등에 대해 애매한 입장을 유지하는 것은 대선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김상일 정치평론가는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계엄에 대한 사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개인적인 의리나 도리를 앞세워 출당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공인의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용태 의원이 아무리 진정성을 보여도 결국 국민의 선택을 받는 건 김문수 후보”라며 “(김 의원이) 선거 표심을 위한 위장이나 보여주기식이 아닌 김 후보의 진정성까지 이끌어 낼 수 있는가를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